내면, 외면의 지구와 관계 맺기 – 『자연에 말걸기』를 읽고 이미진2022년 3월 11일조회 1.7K 인간-자연과의 유대감 회복과 ‘생명공동체’ 의식의 중요성을 이야기하는 마이클 코헨의 책 『자연에 말걸기』를 읽었다. 감각적 끌림 마이클 코헨 생태 심리학 생태 영성 자연에 말걸기
패배주의 넘어 민주주의로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를 읽고 이환성2022년 3월 11일조회 914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오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권리를 쉽게 버린다. 그 기저에는 누구를 선택하더라도 그 사람이 그 사람이라는 패배주의가 똬리를 틀고 있기 때문이다. 정치학을 전공한 저자는 급변하는 사회에서 시대 교체를 이루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우리 내면에 있는 패배주의를 패배시켜야 한다고 주장한다. 우리의 삶은 정치와 긴밀하게 밀착되어 있기에 정치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간접선거 공화국 권리 민주주의 희망
‘독립적 인간’은 허상일 뿐, 우리는 상호의존적인 존재 – 『돌봄선언』을 읽고 서풍2022년 3월 3일조회 4.2K 이 책은 그동안 우리가 어떻게 의존성을 나약함과 병적인 것으로 치부했는지를 되돌아보게 한다. 우리는 의존을 병적인 면과 연결하는 왜곡된 시각으로 바라보기를 멈추어야 한다. 우리의 존재가 상호의존을 통해 그리고 상호의존에 의해 다양한 제각각의 모습으로 형성된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난잡한 돌봄 돌봄 돌봄 네트워크 상호의존 신자유주의
대도시의 다면적인 문화생활에 대해 생각해보다 – 『미국 대도시의 죽음과 삶』을 읽고 이유진2022년 2월 26일조회 2.0K 많은 사람들이 거의 무의식적으로 언젠가 ‘이 복잡하고 비정한 도시’를 떠나 한적한 전원에서 여유를 즐기기를 소망한다. 그런데 사람들 가운데에서 누군가 홀로 일어나 ‘대도시의 얽히고설키고 다면적인 문화생활’이 사람들에게 도움이 된다면서, 좀 더 많이 모여 살자고 했다. 1960년대 이후 많은 사람에게 생각의 계기가 된 이 책에 담겨있는 내용이 바로 그런 것이다. 대도시 도시 미화 도시계획 전원도시 탈집중론
박물관이 살아있다면, 물은 답을 알고 있다면 – 『생동하는 물질』을 읽고 배선우2022년 2월 18일조회 1.8K 제인 베넷의 『생동하는 물질』은 세계를 생동하는 물질의 관계망으로 파악한다. 비인간 생명, 비유기체 물질을 비롯한 모든 존재는 자체적인 생기를 가지고 있고 인간은 그들과 함께 정치를 해나갈 수 있다. 그러한 저자의 생태정치학을 미국의 정치적 사례를 분석하는 데 적용하고, 사물과의 정치가 어떻게 실현될 수 있을지를 질문한다. 생기적 유물론 생태정치학 심층생태주의 탈인간중심주의 현대 철학
“우리가 믿는 것이 우리를 만든다” – 『휴먼카인드』를 읽고 김용화2022년 2월 11일조회 2.7K 인간 본성에 대한 새 관점으로 ‘새로운 현실주의’를 제시하고 있다. 인간의 본성을 의심이 아닌 긍정적 관점에서 바라볼 때 사회에 어떤 변화가 일어날 것인가를 구체적 사례를 통해 밝히는 책이다. 인간본성 호모퍼피 회복탄력성 후천적반사회화 휴먼카인드
새로운 관점, 새로운 삶 – 『숲속의 자본주의자』를 읽고 이환성2022년 2월 11일조회 1.5K 우리의 욕망을 극대화시켜 거의 무한대의 소비를 부추기는 현대의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나만의 고유한 욕망과 욕구를 정확하고 정밀하게 아는 것이 오히려 소비의 피곤을 줄여준다. 내가 진짜 원하는 게 아니라면, 아무리 싸도 갖지 않는다. 독후감 소비 욕망 숲속 생활 오두막 자본주의
자본주의적 인식과 소통이 자멸하는 모습을 상상하게 하는 다크 코메디 – 영화 《돈 룩 업》 관람후기 이유진2022년 2월 3일조회 893 [※스포일러 주의!!!] 굳이 적용되지 않아도 될 현장에서 매체 친화적 태도와 비즈니스 마인드가 중시되는 경우를 꼽아보다 보면, 인류가 삶의 도구로써 빚어낸 그런 태도와 마인드에 의해 인류가 도리어 지배되고 있는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게 된다. 소통의 도구는 하루가 다르게 개선됨에도, 그것은 지배의 도구로써의 위력만을 더할 뿐, 정작 소통은 경색된다. 매체 훈련 반지성주의 인류 멸종 재가족화 하이퍼 오브젝트
인류의 새로운 선택 – 『다른 세상을 위한 7가지 대안』을 읽고 나무늘보2642022년 1월 26일조회 1.8K 코로나19는 인류가 처한 생태적 위기를 분명하게 보여준다. 하지만 현재의 위기는 이전 시대의 위기와 달리 인간을 비롯한 지구상 모든 생명이 존립에 관한 대규모 시스템의 위기이다. 자본주의 시스템 자체를 되돌아 봐야하는 위기의 현실에 대해 책 『다른 세상을 위한 7가지 대안』이 말하는 비비르 비엔, 탈성장, 커먼즈, 생태여성주의 등의 대안에 귀기울여 보자. 기후변화 다른 세상을 위한 7가지 대안 철학공방 별난 코로나19 탈성장
누구나 특별한 능력이 있다 -디즈니 영화 《엔칸토》를 보고 김용휘2022년 1월 17일조회 3.3K 디즈니 에니메이션 《엔칸토: 마법의 세계》를 보고 얻은 나의 재능과 세계를 둘러싼 힘에 대한 생각을 써 보았습니다. 애니메이션 엔칸토 영성 영화 재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