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승철학의 시작] ① 1주기 추모(축)제 ‘지금, 여기, 가까이’를 준비하며 장윤석2024년 6월 11일조회 463 오는 2024년 6월 29일에 신승철 1주기 추모(축)제 “지금, 여기, 가까이”가 열립니다. 기다리고 모시면서 신 소장님의 말과 글, 이야기를 소개하는 글을 매일 부칩니다. 공동체 떡갈나무 혁명 생태적지혜 신승철 철학공방 별난
생물다양성이 미래 국가경제에 큰 영향을 준다고? 홍순용2024년 6월 3일조회 1.6K UN 생물다양성협약의 GBF 흐름과 생태경제학 관점, 생물다양성 리스크 및 생물다양성 소송 사례를 살펴보고, 앞으로 인간과 자연이 공생하기 위해 어떤 방향으로 우리가 만들어가야 하는지 알아보자. 생물다양성 생태경제학 자연법 자연자본 회계적 가치
[스피노자의 사랑] ⑥ 사랑이 세상을 재창조한다 故신승철2024년 6월 3일조회 778 사랑은 시간을 느리고 여유롭게 만들며, 삶의 작은 변화를 촉진합니다. 사랑하는 마음은 일상 속에서 차이를 발견하여 내면의 잠재성을 통해 삶의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습니다. 사랑을 비롯한 모든 정동은 관계 속에서 활성화되며, 고립된 개인은 정지된 감정과 환상을 경험할 뿐입니다. 지금 우리에게는 강한 상호작용을 통해 정동을 생성하고 활성화하는 관계가 중요합니다. 들뢰즈 사랑 스피노자 정동 차이 관련글 [스피노자의 사랑] ③ 경우의 수에 따르는 사랑의 수학 [스피노자의 사랑] ④ 우리 안에 내재한 놀라운 능력 [스피노자의 사랑] ⑤ 사랑이 만들어내는 놀라운 그림
저는 기후소송 12살 청구인 한제아입니다 한제아2024년 5월 26일조회 2.6K 이 글은 지난 2024년 5월 21일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아기기후소송 2차 공개변론 발언문의 초안으로, 최종 발언문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생태적 지혜》는, 법정에서 시간관계상 다 전하지 못한 한제아 활동가의 진심을 온전히 담아내고자, 발언문 초안 전문을 싣고자 합니다. 기후소송 기후정의 미래세대 소수자되기 헌법소원
[몸살 앓는 제주] ⑧ 폭력에 침묵하는 학교를 거부한다 -반인권적인 공교육의 민낯 정근효2024년 5월 26일조회 788 나는 오늘 학교를 자퇴합니다. 백호기 고교 축구대회 응원전에서 일어난 반인권적인 상황을 알리기 위해, 2차 가해와 방관에 침묵하지 않고 목소리를 내기 위해, 학생들을 자살로 내몰고, 친구들을 친구가 아닌 경쟁자로 내모는 살인적인 공교육을 거부하기 위해 폭력을 눈감는 학교를 거부합니다. 균열 사회변화 인권침해 자퇴 폭력 관련글 [몸살 앓는 제주] ⑤ 개발사업에 짓밟히는 공유지- 제주의 초지와 공동목장 [몸살 앓는 제주] ⑥ 무너지는 땅과 사라지는 물 – 세상의 끝, 월정리와 강정마을 [몸살 앓는 제주] ⑦ 직진하는 ‘우회’도로, 사라지는 녹지공간 – 서귀포시 도시우회도로
엄마 찾아 삼만 리 너머로 보이는 것들 – 〈원천강 오늘이(원천강 본풀이)〉 독후기 이유진2024년 5월 26일조회 1.0K ‘엄마 찾아 삼만 리’와 비슷한 이야기들은 세계 여러 곳에 있어서, 많은 사람들에게 친근하게 받아들여진다. 제주도 무교 본풀이의 하나로 알려져 있는 원천강 본풀이의 일부분도 등장인물 오늘이가 부모를 찾아가는 부분이 따로 떼어져 각색된 후 초등학교 교과서에 실리기도 하고 애니메이션의 소재가 되기도 하면서, 많은 사람들의 공감을 얻었다. 이 원천강 본풀이에는 엄마 찾아 삼만 리와 비슷한 면 말고도 눈 여겨 볼 만한 다른 면들이 있지 않을까? 주인공 이름이 어제도 내일도 아닌 ‘오늘’인 이 이야기를, 여유있는 마음을 가지고 읽어보았다. 구복설화 민담 아이러니 유한성 제주설화
[스피노자의 사랑] ⑤ 사랑이 만들어내는 놀라운 그림 故신승철2024년 5월 18일조회 767 낯선 사건과 이질적 타자와의 만남 속에서 우발성을 기쁨으로 만들려면 우리에겐 사랑과 변용이라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타자가 내 안에 들어와 춤추고 말할 수 있게 하는 작은 여백들이 삶의 내재성을 풍부하게 해줍니다. 그 과정에서 사랑은 ‘또 하나의 나’들을 만들어내는 놀라운 순간을 선물할 것입니다. 관계 내재성 스피노자 신체변용 자기원인 관련글 [스피노자의 사랑] ② 작은 사랑이 돌이킬 수 없는 변화를 일으킨다 [스피노자의 사랑] ③ 경우의 수에 따르는 사랑의 수학 [스피노자의 사랑] ④ 우리 안에 내재한 놀라운 능력
기후위기라는 소구점 -『그린 리바이어던』을 읽고 김준영2024년 5월 18일조회 630 기후위기라는 이름으로 밀어닥치는 자연환경의 변화에 개인의 자유는 어떤 영향을 받을까? 사회를 이루는 과정에서 개인을 포함한 행위자들은 이 위기의 영향을 어떤 관점으로 받아들여야 할까? 『그린 리바이어던』이 전하는 정치적 문제의식은, ‘자유’와 ‘권위주의’ 사이에서 민주주의라는 정치 체제가 인간을 넘어선 글로벌 거버넌스로 이어질 수 있는지에 대한 관심이다. 기후위기 생협 서평 소농 지속가능
[번역] 맛시모 데 안젤리스의 〈돌봄 노동과 커먼즈〉 권범철2024년 5월 18일조회 1.4K 현재의 전 지구적인 위기는 우리가 자본주의 아래에서 삶의 대안의 구성과 좀 더 자율적인 사회적 재생산 형태의 구축에 참가하도록 강제한다. 국가도 시장도 우리의 생존을 보장할 수 없기에 우리는 커먼즈의 힘 위에 건설된 전환의 여정을 시작해야 한다. 구성 권력 돌봄 자율 커먼즈 파시즘
2024 리퀴드폴리탄(liquidpolitan) 트렌드 사용법 : 트렌디한 노마디즘, 문제는 그 다음이다. 이무열2024년 5월 11일조회 2.4K 부유하는 고객들의 지역방문을 제고하기 위해 기업과 로컬크리에이터의 활동은 분명 유동하는 세계라는 트렌드의 반영이다. 하지만 정착해서 살고 있는 주민들은 안 보인다. 리퀴드폴리탄의 주체에 기업, 행정, 로컬크리에이터는 있는데 왜 주민은 없을까. 노마디즘 도시 인구 주민 지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