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벽한 공동체 어디 없나요? 최정훈2021년 6월 25일조회 716 ‘피스오브피스’라는 작은 공동체에서 활동을 하면서 공동체에 대한 고민을 하고 있을 때, 오르빌에서 거주했던 대구대 김용휘 교수를 온라인으로 만나게 되었다. 과연 완벽한 공동체란 존재할 수 있을까? 공동체는 완성형일까, 아니면 끊임없는 과정형일까? 공동체 과정형 오르빌 자율 피스오브피스
돌봄 받는 사람은 돌보는 사람에게 늘 의존적일 수밖에 없는가? 윤장래2021년 4월 25일조회 973 돌봄을 받는 사람은 돌보는 사람에게 늘 의존적일 수밖에 없는 걸까? 돌봄에 대한 가장 뼈아픈 질문을 통해 돌봄의 의미에 대해 돌아보고, 진정한 돌봄은 ‘서로돌봄’일 수밖에 없음에 대해 이야기한다. 돌봄 서로돌봄 자율 정동 호혜
생태적지혜연구소 제4회 콜로키움 -『탈성장개념어사전』을 읽고 생태적지혜2020년 9월 11일조회 1.1K 『탈성장개념어사전』(그물코, 2018)에 관한 생태적지혜연구소 제회 콜로키움이 2020년 9월 10일(목) 저녁 7시 ZOOM을 이용한 온라인 세미나로 진행되었다. 다음 콜로키움은 이항우가 쓴 『정동 자본주의와 자유노동의 보상』(2017, 한울아카데미)과 닉 서르닉의 『플랫폼자본주의』(2020, 킹콩북)를 읽고 이야기 나누는 시간을 가질 예정이다. ※참여 문의: 010.9칠44.칠칠56 그린워싱 대안경제 데팡스 자율 탈성장
[류하의 사유정원]⓶국가 그리고 자율적 공동체 류하2020년 3월 10일조회 1.9K 인류는 정착이 시작되고도 4천여 년 이상을 국가 없이 부분적 정착농업, 수렵채취, 화전, 유목 등을 통해 생계를 이어가는 자율적 공동체의 삶을 살았다. 자율성은 국가를 비롯한 어떠한 권력도 사람과 공동체의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생명 그 자체의 내재율이다. 이는 생명이 우주적 신령스러움에 기반하여 탄생하고 소멸하며 지속한다는 우주적 본성에 기초한 것이다. 이에 비해 국가를 비롯한 권력이 지배하는 현대문명은 외재율(外在律)의 문명이며, 이 문명을 넘어서고자 하는 사람들과 공동체적 삶은 국가권력을 비롯한 권력에 저항하거나 탈주를 모색하는 탈근대문명이다. 이는 내재율에 기초한 자율성의 문명이며 자각과 배움을 통한 공진화(共進化)의 길이다. 공동체 공진화 국가 자율 탈근대 관련글 [류하의 사유정원] ⓵사람됨과 이웃됨, 그리고 문명됨
[류하의 사유정원] ⓵사람됨과 이웃됨, 그리고 문명됨 류하2020년 2월 10일조회 1.9K 풍족하고 온화한 ‘홀로세’(Holocene)의 기후환경을 기반으로 성장해온 인류문명이 자신의 의지대로 지구를 역규정하고 힘을 가하기 시작한 시기를 인류세(Anthropocene)라고 일컫는다. 그러나 이성과 근대는 국가주의로 점철되어 있으며, 우리는 가까이를 아끼고 보살피는 ‘이웃됨’과 영적 충만함으로서의 ‘사람됨’의 원리로부터 멀어져 왔다. 이 글은 영적 풍요로움과 자치와 자율의 공동체를 통해 사람됨과 이웃됨에 이르는 사상적인 경로를 탐색한다. 공동체 문명 인류세 자율 자치 관련글 [류하의 사유정원]⓶국가 그리고 자율적 공동체
공동체 속에서 살아간다는 것 더불어삶2019년 8월 25일조회 4.2K 필자는 수 년 간의 공동체 경험 속에서, 이론이 아닌 몸으로 공동체에 대해 조심스럽게 알아나가는 중이다. 하지만 아직도 공동체가 무엇이며 그것이 우리 삶에 어떤 역할을 하고 왜 좋은지에 대해서 단 몇 마디 말로 명확하게 설명하기는 어려운 일이다. 그동안 청년주거공동체에 살면서 혼잣말처럼 던져온 질문들이 있다. 아직 명확한 답을 얻지는 못했지만, 그 질문들을 통해 ‘공동체 속에서의 관계’에 대해 다시금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공동체 공통성 관계 자율 청년 관련글 공동체는 불편하다① 누워 있는 호텔과 체험이 있는 호텔 이야기
[생태음악을 찾아서] ① 자연인가? 자율인가? 신동석2019년 7월 25일조회 2.7K 생태음악이라고 하는 예를 살펴보고, 무엇이 생태음악이고 생태음악이 되어야하는가를 찾으려 한다. 존 케이지는 「4’33」이라는 작품을 예술과 우리 인생 사이의 경계를 허물기 위해 만들었다고 이야기하였는데, 그로 인하여 음악은 우리 주위의 소리가 되었고 흔히 듣는 우리 주위의 소리는 음악이 되었다. Curawaka 생태음악 자연주의 음악 자율 존 케이지 관련글 생태 음악을 찾아서② 카오스와 리토르넬로
공동체연구모임 – 『탈성장개념어사전』 생태적지혜2019년 6월 25일조회 1.6K 『탈성장개념어사전』(그물코, 2018)에 관한 공동체연구모임 세미나가 2019년 6월 17일(월) 저녁 7시 문래동 ‘철학공방 별난’에서 진행되었다. 이 모임은 7~8월 혹서기 동안 방학기간을 가진 후 9월 25일(수)에 모여 『붕괴의 다섯단계』(궁리, 2018)을 읽고 이야기 나누는 시간을 가질 예정이다. ※참여 문의: 010.9칠44.칠칠56 무소유 삶의 전환 자율 제한 탈성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