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레터 100호 특집] 편집위pick #돌봄 생태적지혜2023년 11월 24일조회 376 ‘돌봄’은 생태적지혜 웹진에서 주요하게 다뤄지는 키워드 중 하나입니다. 대개 돌봄은 노동과, 특히 역사 속에서 인정받지 못했던 여성 위주의 재생산 노동과 연결됩니다. 그러한 돌봄 노동의 가시화는 매우 중요합니다. 웹진에 기고된 다양한 돌봄 관련 글에도 그러한 글이 많습니다. 다만, 이번 편집위pick에서는 그러한 돌봄 노동의 재정의 너머에 있는 여러 이야기들을 꼽아보았습니다. 돌봄은 더 이상 가족 내에서만 이뤄지거나 노동력 재생산을 위한 것이 아니라, 모든 차원에서 모두의 일상 속에서 내재되어야 할 가치일지 모릅니다. 관계 돌봄 사랑 서로돌봄 연결
페미니즘: 살림의 경제학 조윤지2023년 11월 3일조회 1.1K 여성의 노동이 비가시화됨과 동시에, 여성의 노동은 그 자체로 하찮고 열등한 것으로 여겨졌다. 하지만 (백인) 남성을 기준으로 상정된 임금 노동 중심의 가시경제는 결국 생태적 위기를 맞이했으며, 인간의 존재 목적을 오로지 노동과 생산성으로 해석하는 치명적인 오류를 낳았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우리는 경제의 구조를 뿌리부터 바꿀 필요가 있다. 노동 돌봄 살림 에코페미니즘 자율
[만화리통신] ㉞ extreme self-love: 나를 돌보는 마을학교 김진희2023년 9월 26일조회 603 아이도 어른도 함께 가르치고 배우는 두동마을학교에서 아이들은 빼고 어른만 태극권을 중심으로 채식밥상(자연식물식), 장자읽기, 그림명상, 싱잉볼명상, 맨발걷기로 나를 돌보자는 주제로 워크샵을 했습니다. 본문은 본격 프로그램 이야기를 하기도 전에 끝납니다. 본격 전 이야기입니다. 돌봄 로컬 마을학교 생태적 삶 태극권 관련글 [만화리통신] ㉛ 우연 – 뜻하지 않게 저절로 생겨 묘하게 일어나는 일들 [만화리통신] ㉜ 밥 같이 먹자! [만화리통신] ㉝ 6월의 제철음식 감자
알고 보면 모두가 억울하다 -이야기 ‘바리공주’를 읽으며 더 나은 공동체를 생각하기 이유진2023년 7월 26일조회 1.6K 평생을 완벽하게 행복만 누리면서 살아서 여한이 없는 죽음을 맞이하는 삶은 지극히 드물 것이다, 여한은 그저 개인의 차원에서 만들어지고 쌓이는 것이라기보다는 함께 살아가는 이웃들과의 관계 속에서 얽히고 쌓여가는 것이기에 문제는 더 복잡해진다. 여한 없는 삶 아니 여한 없는 죽음에 근접한 더 나은 공동체의 조건은 무엇일까? 이야기 ‘바리공주’를 읽으며 그 조건을 생각해 봤다. 공동체 구비문학 기후위기 돌봄 설화
무인도시 – 사라진 사람들, 사라진 언어 랑2023년 6월 11일조회 969 얼마 전 광주에 다녀오면서, 서울에서 생활하고 있는 나에게 어떤 종류의 ‘언어’가 사라졌음을 감지하게 되었습니다. 디지털과 비대면에 너무나 익숙한 ‘나의 삶’을 곱씹으며 사라진 언어들을 되찾기 위해 어떤 돌봄이 필요한지 생각해 보았습니다. 돌봄 세대갈등 소외 정보자본주의 플랫폼자본주의
가정과 돌봄-영케어러의 아버지 돌봄 기록지 ⑦ 동그랑2023년 5월 18일조회 453 2023년 설날 연휴, Covid-19 펜데믹 이후 3년 만에 위험과 절망을 끌어안은 아버지와 내가 서로의 곁에 머무르기로 했다. 3년 만에 3박 4일의 병원 내 아버지 돌봄이 서로에게 어떤 시간이 될지 기대하며 글을 맺는다. 돌봄 돌봄청년 영케어러 자립 책임 관련글 가정과 돌봄-영케어러의 아버지 돌봄 기록지 ⑥ 가정과 돌봄-영케어러의 아버지 돌봄 기록지 ⑤ 가정과 돌봄-영케어러의 아버지 돌봄 기록지 ④
[질적연구방법을 통해 살펴본 영케어러의 돌봄과정] ④ 연구참여자3의 돌봄 경험 조명아2023년 5월 18일조회 810 이전 글에서는 여섯 명의 영케어러들에 대한 간략하게 소개하였다. 이번부터는 본격적으로 ‘질적연구방법을 통해 살펴본 영케어러의 돌봄과정’에 대한 세 번째 연구참여자의 돌봄경험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가족 돌봄 돌봄청소년 영케어러 정책
내 발톱은 누가 깎아줄까? – 볼 수 없는 것들의 윤리와 미학 오영주2023년 5월 11일조회 670 병원을 집처럼 드나들던 시기, 어느 날 엄마의 발톱이 길게 자란 것이 보였다. 손톱깎이로 깎아드리며, 그제야 엄마가 엄마였을 때 그런 경험이 없었던 것이 생각났다. 노인들, 환자들, 지워진 사람들, 소수자들, 비인간 생명들, 우리 모두가 한국 사회라는 공동체의 일원이 되었으면 좋겠다. 좀 더 존엄하게 서로를 위로하며 서로를 돌볼 수 있는 사회가 되기를 바란다. 간병 돌봄 요양원 투명인간되기
가정과 돌봄-영케어러의 아버지 돌봄 기록지 ⑥ 동그랑2023년 4월 26일조회 668 ‘영 케어러’들의 자조모임에서 아버지의 고관절 골절 상황과 함께 병원에서 들었던 ‘속설’을 나눴다. “어르신들이 고관절 골절상을 입으면 3년을 못 넘기더라”는 속설. 아버지를 돌보던 간병인과 간호사들의 이야기였다. 비록 직접 내게 말하진 않았지만 엄연히 내가 있는 자리에서 하던 말들이다. 썩 기분이 좋진 않았지만 덜컥 겁을 먹게 됐다. 아버지가 3년 안에 돌아가신다면? 돌봄 돌봄청년 애도 애도연습 영케어러 관련글 가정과 돌봄-영케어러의 아버지 돌봄 기록지 ⑤ 가정과 돌봄-영케어러의 아버지 돌봄 기록지 ④ 가정과 돌봄-영케어러의 아버지 돌봄 기록지 ③