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성장토론회 특집] ② ‘전자의 숲’에서도 마그나카르타 정신은 유효할까? 배선우2023년 1월 11일조회 569 이 글은 2022년 12월 22일에 '탈성장 전환에서의 생태헌법정신'을 주제로 한 [탈성장 대토론회]에서 논평문으로 발표된 내용이다. ‘(대)도시는 어떤 숲일까?’ 오늘날 대다수의 인구가 살아가는 도시라는 생태적 환경에서는 어떠한 공통권을 추구할 수 있을지 주목해보자. 공동체 자급자족 자본주의 자유 커먼즈 관련글 [탈성장토론회 특집] ① 마그나카르타와 공통의 숲 – 『마그나카르타 선언』을 읽고
‘부패’할 줄 아는 것들의 미학 – 『시골빵집에서 자본론을 굽다』를 읽고 이환성2022년 12월 3일조회 1.6K 저자는 유기농 농산물을 다루는 회사에서 근무하다가 이윤만을 최우선으로 하는 자본주의 경제에 위화감을 느껴 회사를 그만두고 자신만의 진짜 일을 하고자 4년 반 동안 제빵 기술을 익혀, 치바현에 자신만의 가게를 열지만 2011년 3월에 동일본대지진의 계기로 보다 좋은 환경을 찾아 시골 마을로 이주하여 천연발효 빵 가게를 연다. 이 이야기는 가쓰야마에서의 분투기이다. 대안적 삶 부패경제 자본론 자본주의 지역공동체
탈성장의 사회상에 대한 역사적 시나리오적 접근 김현우2022년 7월 3일조회 1.9K ‘탈성장이 미래다’라는 말은 너무 쉽다. 그 미래를 어떻게 만들지를 말하지 않으면 루저나 별난 취향의 게토에서 벗어나기 어려울지 모른다. 탈성장은 도덕률이 아니며 경제 이론인 것만도 아니다. 탈성장은 규범이기도 하고 방법이기도 하고 느낌이기도 할 것이다. 미래를 그리는 시나리오에는 이런 요소들이 다 있어야 한다. 기후위기 자본주의 전환 지속가능성 탈성장
재난자본주의는 ‘위험한 구원의 순간’을 기다린다 박숙현2022년 5월 26일조회 2.0K 자연재난과 위기, 전쟁을 돈벌이 기회를 삼는 자본주의를 ‘재난자본주의’라 부른다. 『쇼크 독트린』(2008)을 쓴 나오미 클라인은 자유시장주의자가 보기에 ‘마음껏 그릴 수 있는 백지를 만들어 내는 위험한 구원의 순간은 홍수, 전쟁, 테러 공격이 일어날 때다’라고 주장하였다. 기후위기 불평등 자본주의 전환 코로나19
초대받지 못한 자가 잔치를 풍성하게 한 이야기 – 『반란의 도시』 를 읽고 이유진2022년 3월 18일조회 1.4K 파리와 뉴욕은 많은 사람들이 가고 싶어 하는 도시 순위의 상위권을 언제나 차지한다. 그런데 그 도시들의 생성 과정을 들여다보면 약탈적 도시개발의 흔적을 만나게 된다. 이 책은 그러한 흔적을 드러내면서 그를 통하여 자본주의의 민낯을 보여준다. 이 책은 또한 도시에 초대받지 못하고 단지 ‘끼어들었던’ 자들의 일부가 그 도시와 자본주의에 타격을 가하면서 더 나은 도시로 가는 길을 잠깐씩 열었던 이야기도 전하여 준다. 도시권 자본주의 점령운동 프레카리아트 플랫폼
문래예술가공부모임_〈기후위기와 전환사회 전망〉(online) 생태적지혜2022년 2월 13일조회 730 〈기후위기와 전환사회 전망〉에 관한 문래예술가공부모임이 2022년 1월 26일(수) 오후7시 온라인 ZOOM을 통해 진행되었다. 2022년 3월 2일 오후7시로 예정된 다음 모임에서는 이나미 님을 모시고 〈생태시민성과 기후위기에 대한 대응〉에 대해 이야기 나누는 시간을 가질 예정이다. ※참여 문의: 010.9칠44.칠칠56 기후위기 기후정의 기후행동 자본주의 체제전환
다람쥐회 대안경제모임_『세계사의 구조』 3회(online) 생태적지혜2022년 2월 13일조회 750 가라타니 고진 『세계사의 구조』(2012, b)에 관한 대안경제모임이 2022년 1월 12일(수) 오후6시 온라인 ZOOM을 통해 진행되었다. 2022년 2월 28일(월)로 예정된 다음 모임에서도 『세계사의 구조』(2012, b)를 이어서 읽고 이야기 나누는 시간을 가질 예정이다. ※참여 문의: 010.9칠44.칠칠56 공동체 보편종교 자본주의 종교 커먼즈
새로운 관점, 새로운 삶 – 『숲속의 자본주의자』를 읽고 이환성2022년 2월 11일조회 1.6K 우리의 욕망을 극대화시켜 거의 무한대의 소비를 부추기는 현대의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나만의 고유한 욕망과 욕구를 정확하고 정밀하게 아는 것이 오히려 소비의 피곤을 줄여준다. 내가 진짜 원하는 게 아니라면, 아무리 싸도 갖지 않는다. 독후감 소비 욕망 숲속 생활 오두막 자본주의
역사와 정치 세미나_캘리번과 마녀(11월 모임후기) 연구공간L2021년 12월 12일조회 1.2K 실비아 페데리치의 『캘리번과 마녀』에 관한 세미나가 2021년 11월 한달간 매주 토요일마다 오후2시 연구공간L 주최로 온라인을 통해 진행되었다. 11월 모임에서도 매주 토요일 오후 2시 실비아 페데리치의 『캘리번과 마녀』를 읽고 이야기 나누는 시간을 가질 예정이다. ※참여 문의: 010.2716.0746 마녀사냥 시초축적 여성주의 자본주의 캘리번과 마녀
기후위기와 탈성장 – 『지속 불가능 자본주의』를 읽고 김영진2021년 12월 2일조회 2.0K 지금의 기후위기에 처할 때까지 자본주의는 그 역할이 막대했다. 그런데 이 자본주의도 더는 지속이 힘들다. 아무리 자본주의라 하더라도 인류 없이 가능하겠는가. 기후위기는 자본주의뿐만 아니라 인류도 종료시킨다. 인류가 생존하려면 성장을 외치는 자본주의 말고 다른 방법도 고려해 봐야 한다. 성장을 고집하면 기다리는 건 대멸종뿐이다. 기후위기 인류세 자본주의 지속 불가능 탈성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