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대담] ④ 왜 청년들은 사회적 경제를 선택하지 않나? 신승철2022년 5월 3일조회 376 2022년 4월 17일, 사회적 금융모임의 네 번째 아이디어 회의를 했다. 이 자리에서는 사회적 경제의 청년들에 대한 포용력과 비구조화된 자율성과 체제 내화된 사회적 경제 등의 논의가 이루어졌다. 대안금융 사회적경제 사회적금융 자조금융 청년 관련글 [기획대담] ① 탈성장에서의 사회적 금융의 역할 [기획대담] ② 공동체신용에 있어서의 사회적 금융의 관계 맺기 방식 [기획대담] ③ 작은 공동체단위가 연대체계를 형성하는 법
청년들은 왜 사회적 경제를 선택하지 못하나? 박상현2021년 11월 17일조회 571 개인의 관점을 중요시하는 청년과 공동의 가치를 중요시하는 사회적 경제는 어떻게 보면 상극관계라고 볼 수 있다. 시대의 흐름대로라면 청년들은 사회적 경제에서 멀어지는 것 아니냐는 질문이 나올 수 있다. 하지만, 사회적 기업, 마을기업, 지역화폐 등 다양한 사회적 경제의 구조가 지속적으로 나오고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개인주의 공동체 사회적경제 청년 피스오브피스
[지역의 발명] ⑧ 지역과 사회적 경제 이무열2021년 3월 25일조회 1.3K 지역과 사회적 경제는 통합되어 있고, 서로의 필요에 따라 서로 맞물려 작동한다. 지역은 사회적 경제를 양성하고 사회적 경제는 지역을 지지하는 관계에 있다. 코로나19로 가중된 경제적인 부담 속에서 지역의 해체가 가속화되고 있다. 사회적 경제의 행위자들이 지역 문제 해결을 위해 ‘가장 큰 역할’을 도맡아야 할 때다. 공동체 사회적경제 지역 커뮤니티 협동조합 관련글 [지역의 발명] ① 도대체 지역은 어디까지일까? [지역의 발명] ② 야마자키 료의 커뮤니티디자인 방법 [지역의 발명] ③ 지역에 있어야 할 10가지 원칙 [지역의 발명] ④ 질문으로 할 수 있는 것들 [지역의 발명] ⑤ 계획을 넘은 계획, 커뮤니티 픽션(Community Fiction) [지역의 발명] ⑥ 지역을 발견하는 관찰 [지역의 발명] ⑦ 커뮤니티 디자이너 야마자키 료 Studio L 대표 인터뷰 [지역의 발명] ⑨ 비어있는 주민학교
[코로나19와 사회적 경제] 코로나19 이후 어떤 사회적 경제가 되어야 할까? 이무열2020년 6월 10일조회 1.6K 최근 마케팅커뮤니케이션협동조합 살림에서 사회적경제 각 단위들과 만나 코로나19사태에 관한 연속대담을 하면서 느낀 점을 정리했다. 활동가들과의 대담을 통해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타격을 입은 사회적경제의 실상을 알아보고 앞으로의 대안을 전망해보고자 했다. 코로나19 사태와 같은 위기 상황에서 호혜적 경제 활동을 통해 지역에서 관계를 회복해가는 사회적 경제의 역할은 더욱 중요해질 것이다. 공동체 사회적경제 코로나19 협동조합 호혜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