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황에 따라 결정할 줄 아는 지혜’로서의 생태교육 고은경2022년 11월 3일조회 982 서구 근대 철학을 바탕으로 한 교육은 지구의 위기를 가속시키고도 책임을 질 줄 모르는 인간들을 양산하고 있다. 이제 진정한 삶과 앎과 행동의 연결을 이루는 생태교육으로의 전환이 필요한 때이다. 교육 기후위기 산업문명 생태교육 실천
서울이 바이오필릭시티(Biophilic city)가 되는 상상 김유리2022년 10월 26일조회 4.4K 한국의 어떤 도시보다 큰 도시, 서울이 바이오필릭시티가 될 때, 그 영향력은 클 수밖에 없습니다. 작은 실천, 개인의 행동, 시군구 단위의 지방정부도 중요하지만 대도시에서 큰 규모로 전환할 때, 의미있는 변화를 이끌 수 있습니다. 기후위기의 책임이 큰 도시가 큰 변화를 해야 합니다. 기후위기 바이오필릭시티 생태위기 서울 전환도시
기후위기에 대해 말할 ‘때’ 두더지2022년 10월 18일조회 1.1K 기후위기의 현실은 강력하다. 문명을 삼킬지도 모른다는 과학적 예측이 불안을 키운다. 하지만 불안과 두려움을 전하는 것으로 상대방을 변화시킬 수 없다. 기후위기에 대해 말할 때, 우리는 그래서 내가 무엇을 하고 있는가를 말해야 한다. 기후위기 녹색평론 생태주의 영화 텃밭
생태레닌주의는 자본주의로부터 인류를 구할 수 있을까? 김현우2022년 10월 11일조회 2.6K 기후위기 시대의 비상구이자 신속한 전환을 사유하며 많은 사상가들이 레닌을 소환하곤 한다. 탈성장까지도 포함하는 노동시간 단축, 탈소비주의, 오락적 시대를 급진적으로 현실화하기 위한 생태레닌주의적 체제 전환이 매력적으로 다가올 수 있다. 하지만 그 단어에 담겨있는 낭만주의적 비약 또한 읽어내기 어렵지 않다. 과연 우리는 ‘체제 전환’을 현실화하기 위한 구체적인 전략과 대안을 가지고 있는가? 우리에겐 체제를 구체적으로 해부하고 전환을 현실적으로 준비할 더 많은 이야기가 필요하다. 국가사회주의 기후위기 생태권위주의 생태레닌주의 체제전환
국민연금의 ESG 진정성 리트머스 시험지 ‘석탄투자 제한 전략’ 이종오2022년 10월 11일조회 857 국민연금은 2021년 5월말에 ‘탈석탄’ 선언을 했다. 석탄회사에 대한 투자를 제한한다는 내용이다. 하지만 논의 중인 ‘석탄투자 제한’의 세부전략은 실망스럽다. 3개로 요약된 향후 선택지에는 국제사회가 상식으로 설정한 석탄매출 20% 가이드라인은 아예 생략되어 있다. 좌초자산이 될 가능성이 높은 석탄기업들을 기후경쟁력을 가진 재생에너지 기업으로 전환시키는 데 국민연금도 촉진자 역할을 해야 한다. ESG 국민연금 기후금융 기후위기 탄소중립 관련글 국민연금은 1.5℃ 탄소중립 목표 설정하고, 기후행동에 나서라 – 국민연금의 기후위기 무관심에 대하여
“부자들에게 세금을, 지구에게 구원을!” 김희룡2022년 10월 3일조회 720 일찍이 산업화와 식민지 경영에 성공한 국가들의 경제적 성공은 저개발 국가의 자원과 미래세대의 에너지 사용량까지 착취한 결과이다. 기후재앙에서 벗어나기 위해 전 지구적 공감과 연대가 필요하다면 먼저 저개발 국가와 미래세대를 착취하여 이뤄낸 부의 정의로운 분배가 실현되어야 한다. 이러한 정의로운 부의 분배를 위해 시도되는 “삭개오 프로젝트”는 복음서에 나오는 이야기를 모티브로 한다. 기후금융 기후위기 기후정의 불평등 삭개오세금
[현장스케치] “기후재난, 이대로 살 수 없다” 생태적지혜2022년 9월 26일조회 844 “기후재난, 이대로 살 수 없다”를 슬로건으로 기후위기 해결을 요구하고 불평등 해결을 촉구하는 924기후정의행진이 2022년 9월 24일(토) 오후 3시부터 시청역-숭례문 일대에서 진행되었다. 그 뜨거운 현장의 모습을 사진에 담았다. 기후위기 기후정의 기후행동 탈성장 행진
“모두가 기후위기의 가해자이고 피해자”라는 그럴듯한 착각 전병옥2022년 9월 26일조회 2.0K 지금까지 우리는 ‘기후정의를’ 국제협상에서 선진국들의 책임과 선도적인 이행을 담보하기 위한 구호로 활용했을 뿐이다. 지난 여름, 한국과 파키스탄을 강타한 폭우 피해 사례에서 보듯이 기후정의는 즉각적인 실천의 과제이다. 기후위기 기후정의 기후행동 연대
지금 우리가 탈성장을 이야기하는 이유 –생태적지혜연구소 탈성장전략 대토론회 후기 박숙현2022년 9월 11일조회 1.6K 지난 8월 25일 개최된 〈생태적지혜연구소협동조합 탈성장 전략수립을 위한 대토론회〉에 대한 후기이면서, 동시에 우리 안에서 탈성장의 의미와 가치를 되새겨보고자 하는 글이다. “지금 우리는 왜 탈성장의 기치를 들어야 하는가”라는 질문 아래, 생태적지혜연구소의 탈성장을 위한 도전과 경험들을 함께 나누고자 한다. 기후위기 생태적지혜연구소 좋은 삶 탈성장 토론회
지구 마을에서 살아가기 효선2022년 9월 3일조회 1.2K 인류가 지구공동체의 일부로서 존재하기 위해는 '마을'의 의미를 다시 생각할 필요가 있다. 인간과 자연을 통합된 시각으로 이해하기 위한 관점과 의식을 전환이 여기에서 출발하기 때문이다. 기후위기 마을 생태공동체 연결 전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