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정: 학생을 중심에 놓고 생각하기 윤상혁2022년 7월 3일조회 4.7K 지난해 11월 24일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주요사항(시안)’이 발표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한 각론 연구 및 교과 교육과정의 구성과 설계 과정이 뒤이어 진행될 예정이다. 이 과정에 참고가 될 수 있는 자료로, 2018년 OECD에서 발간한 「OECD 교육 2030: 미래교육과 역량」 보고서에서 제안하는 ‘OECD 2030 학습나침반’을 살펴보고, 학생의 삶과 학습을 중심에 놓는다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 짚어본다. 교육 교육과정 미래교육 학교 학생
[만화리통신] ㉖ 만화리 치술령, 여신의 땅 김진희2022년 7월 3일조회 878 두동은 산세가 부드럽다고들 말합니다. 치술이라는 이름의 그녀가 있는 곳에 자리했습니다. 마을 만화공감 만화리 비조마을 생태 관련글 [만화리통신] ㉕ 어릴 때 뺄개이 때문에 그렇다는 얘기를 많이 들었어 [만화리통신] ㉔ 그렇게 들여다보는데 안 크고 배기겠어요! [만화리통신] ㉓ 당신이 찾고 있는 것도 당신을 찾고 있다
성 프란치스코의 피조물 개념에서 배우는 오늘의 기후 행동 유정원2022년 7월 3일조회 3.4K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성 프란치스코를 ‘생태학의 주보성인’이라 하셨다. 모든 피조물을 경배했고 그들과 우정을 나누었으며 벌레를 밟을까 염려하고 꿀벌들과 꿀과 포도주를 나누던 분이셨다. 해와 달을 누이라 부르고 모든 동물을 형제를 부르며 매미와 함께 하느님을 찬미했던 성 프란치스코를 기후행동의 어려움 앞에 다시 생각해 본다. 생태학 영성 종교 프란치스코 피조물
[전통과 생태] ① 밥상문화_공동체밥상에서 혼밥문화로 故신승철2022년 7월 3일조회 2.0K 지금 우리는 먹을 것이 넘쳐나는 풍요의 시대를 살고 있다. 그러나 불과 몇 십 년 전만 해도 공동체밥상은 ‘더불어 가난’에 기반하고 있었다. 앞으로 우리가 탈성장으로 향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공동체밥상을 복원해야 할 것이다. 나눌수록 풍요로워지고, 나누어야 자신이 먹을 수 있는 밥상, 이야기구조가 폭발하여 열정과 환희가 감돌던 밥상, 보이지 않는 미학과 윤리가 작동하던 밥상, 그런 밥상은 이제 현대적인 트랜드가 되어 다시 복원되고 재구성될 것이다. 그것도 젠더교차성 밥상살림의 주역들이 그것을 해낼 것이다. 그것이 오래된 미래, 탈성장 전환사회의 미래의 공동체밥상의 모습일 것이다. 공동체 문화 밥상 살림 혼밥
[소모임 조직화 사례] 생활나눔모임 〈마라나다〉 고재섭2022년 6월 26일조회 1.5K 필자는 1982년부터 1987년도까지 6년간의 마라나다 소모임의 경험을 전한다. 가톨릭 수사님과 영어성경교실로 출발한 소모임은 내면의 이야기를 나누는 관계로 발전하게 된다. 소모임은 자연스럽게 삶을 나누고 모두의 성장과 행복을 추구하는 목표로 전환된다. 특히 ‘I-Message 중심의 3인조 대화’를 모든 모임에서도 시도해보기를 강력히 권한다. 공동체 대화법 성장 소모임 조직화
[생태적으로 이해하는 선사의 법어] ‘산은 산이요, 물은 물이다’. ‘아니다. 그렇다’ 유정길2022년 6월 26일조회 15.3K 김춘수의 시 ‘꽃’에서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기 전에는/그는 다만/하나의 몸짓에 지나지 않았다./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었을 때/그는 나에게로 와서/꽃이 되었다.’라는 구절이 있다. 우리는 존재를 인식하고, 존재의 본질을 깨닫고, 의미를 부여한다. 그리하여 물은 물이, 산은 산이 되었다. 그 안의 담긴 수많은 생명을 포함해서. 법어 본질 정식게 존재 종교
탈성장의 예수 김희룡2022년 6월 26일조회 815 독일의 신학자 본회퍼는 죄책감에서의 해방을 제공하는 것은 “싸구려 은총”, 죄로부터의 해방을 선사하는 것은 “값진 은총”이며 우리가 추구할 것은 “값진 은총”이라고 보았다. 임박한 기후 위기와 재앙 앞에서 ‘싸구려 은총’은 “그린 워시”에 해당한다. 성장의 욕망에 면책을 줌으로써 성장 담론과의 단절을 방해하기 때문이다. 누가복음이 전하는 “사복사화의 설교”를 행한 예수는 탈성장 옹호자다. 성장 담론이 지배하는 세상에서 결코 환영받을 수 없는 가난하고 굶주린 자들을 복 있는 자들로 규정하기 때문이다. 다람쥐회 경제학습모임 영등포산업선교회 예수 종교 탈성장
[어쩌다 이장] ⑫ 응답하라! 제주도교육청 이상영2022년 6월 26일조회 873 제주도교육청이 오랫동안 추진한 ‘작은학교 활성화’ 정책으로 분교의 학생수는 많이 증가했지만, 근본적인 문제점들은 해결되지 않고 있다. 단순히 ‘초등학교 학생 수 증원’에 목메는 것이 아니라 여건이 불리한 지역의 ‘학생’들에 대한 실제적 지원으로 바뀌어야 한다. 평등한 학습권과 통학권 보장이 선행되지 않고는 마을의 학생들은 결국 사라질 수밖에 없다. 분교 선흘2리 제주 제주도교육청 지역 관련글 [어쩌다 이장] ⑪ 네가 거기서 왜 나와? [어쩌다 이장] ⑩ 1인 시위의 기술 A to Z [어쩌다 이장] ⑨ 우리 마을 할맨져스
연구와 연구자 그리고 커먼즈 권범철2022년 6월 18일조회 2.5K 오늘날 그 어느 때보다 많은 연구가 쏟아지고 있지만 연구자의 삶은 그와 달리 갈수록 취약해지고 있다. 풍요로운 연구와 빈곤한 연구자라는 이 기묘한 사회적 연결 상태를 바꾸기 위해서는 연구자들의 자율적인 재생산 커먼즈뿐 아니라 공적 지원의 공통화가 필요하다. 대학 실존 연구자 제도 커먼즈
[질적연구방법을 통해 살펴본 영 케어러의 돌봄과정] ① 연구참여자 소개 조명아2022년 6월 18일조회 1.5K 이 연구는 학술적인 관점에서 영 케어러들에 대한 돌봄과정을 전반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이번에는 영 케어러의 돌봄과정을 살펴보기 위해 표집한 6명의 참여자들을 소개하는 것을 목적으로 두었다. 가족 돌봄 영 케어러 청년 청년 케어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