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의 발명] ㉑ 지역의 발명을 위한 희망의 가설들 이무열2022년 2월 3일조회 1.3K 기후재난과 불평등을 초래한 근대 문명의 대안으로 지역이 강조되고 있다. 지역의 발명은 주민들이 각자의 방식으로 서로 돌보며, 더불어 살아가는 생활에 필요한 문화와 경제가 순환되는 지역 생태계를 새롭게 회복하는 일이다. 공동체 관계 순환 지역 지역활동 관련글 [지역의 발명] ⑳ 인문운동가 이남곡 선생 인터뷰 [지역의 발명] ⑲ 지역에 사건이 필요할 때 [지역의 발명] ⑱ 디자인 씽킹(Design Thinking)이 지역의 발명에 적절하다.
만약 식량 위기가 온다면, 도시에서는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초록주의2022년 2월 3일조회 2.9K 우리처럼 식량의 수입 의존도가 큰 나라에서 식량 위기는 수많은 생명의 문제와 직결된다. 주식인 식량 생산에는 적어도 3개월은 걸리므로 위기가 닥치기 전에 미리 식량을 자급자족할 길을 마련하지 못하면 식량 부족 사태를 피할 길 없을 것이다. 도시농업 식량위기 유기농 자급자족 텃밭
다람쥐를 찾아서_한 톨 도토리가 만든 떡갈나무혁명 박현주2022년 2월 3일조회 952 작은 변화나 대화가 누군가에게 싹을 틔워 영향력을 발휘한다는 이야기. 공동체 동료 작업 콜렉티브 해방해방
불타는 지구에 더 이상의 공항은 필요 없다 지은2022년 1월 26일조회 1.8K 기후·생태계 붕괴로 모든 생명들의 생존기반이 무너져내리고 있는 절체절명의 위기와 재난 속에 한국 정부와 지자체들은 가덕도 신공항, 새만금 신공항, 서산민항, 제주제2공항 등 10개의 신공항 개발계획을 추진하고, 검토하고 있습니다. 공항을 줄여도 모자랄 시대에, 선거를 앞두고 대규모 토건사업으로 지역표를 얻으려는 자유주의·수구정치권의 개발망령이 신공항 건설에 대한 주민들의 숙원사업으로 둔갑되어 지역 곳곳을 뒤덮고 있는 기만적인 상황을 담았습니다. 공항 말고 갯벌 새만금 신공항 선거용 정치공항 신공항 탄소불평등
[만화리통신] ⑲ 온 마을이 아이를 키웁니다 김진희2022년 1월 26일조회 1.1K 비조마을 논아이스링크장에서 노는 아이들. 아이들의 얼음놀이터를 만들어준 마을어른, 썰매를 만들어준 농막아저씨, 썰매 만들 나무를 제공해준 어쩌다이웃 김반장 모두 감사합니다. 마을 만화공감 만화리 비조마을 생태 관련글 [만화리통신] ⑱ 겨울밤이 깊어 갑니다 [만화리통신] ⑰ 슬기로운 지구인 되기 [만화리통신] ⑯ 계속 이어지는 공부가 즐거운 마을학교
마인드풀니스의 실천에 대한 과학화 연구 – 마인드풀니스란 무엇이고, 실천하는 사람을 어떻게 바뀌게 하는가? Zen Lee2022년 1월 26일조회 2.8K 존 카밧진의 마인드풀니스 과학화 과정은 sati에서 빠뜨려서는 안 될 불교 특유의 존재론적 관점을 배제하게 만들었다. 본 글에서는 바로 그 지점을 분석하는 일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관찰 마음챙김 마인드풀니스 명상 불교
저 멀리 있는 이에게도 이렇게까지 안 했는데! 조기현2022년 1월 17일조회 1.0K 가족 돌봄이 중심이 된 사회에서는 타인을 돌볼 때 가족에게 하지 않았던 것을 떠올리는 습관이 있는 듯하다. 또 가족이라는 울타리 안에서만 아무 것도 계산하지 않은 호혜의 순간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런 마음을 어떻게 재편할 수 있을까? 가족 돌봄 공동체 연대 인류애 호혜
의도적 진부화와 의도적 게토화 김현우2022년 1월 10일조회 2.8K 구매력을 가진 경제 집단이 최신 승용차, 스마트폰, 공기청정기를 구매하지 않게 된다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 시민의 일정 숫자, 아마도 3-4%가 의도적으로 적게 소비하고 오래 이용하며 나눠쓰고 고쳐쓰는 실천을 한다면? 이 글은 생태위기 상황의 해법은 결국 지구와 국가 그리고 지역이 ‘살림’의 원리를 체득하고 구현하는 데에 있다고 이야기한다. 이를 돕는 여러 제도들이 필요할 테고 시스템으로는 순환 경제를 지향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 시작은 주류적 소비 문화와 시장으로부터의 소비자의 작은, 상대적인 탈동조화일 것이다. 수리 순환 적정기술 탈동조화 탈성장
[어쩌다 이장] ⑥ 도움받을 용기 이상영2022년 1월 10일조회 1.0K 어떤 방식으로든 누군가에게 도움을 받기로 결정한다는 것은, 결국 도움을 주는 이와 깊은 관계에 들어가야 함을 받아들여야 하는 선택이다. 시간이 지날수록 이장은 도움을 부탁하는 자리라는 생각이 든다. 그러려면 개인적으로 많은 연습과 용기가 필요하다. 도움받을 용기! 관계 마을 선흘2리 어쩌다이장 제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