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성장의 사회상에 대한 역사적 시나리오적 접근new 김현우2022년 7월 3일조회 15 ‘탈성장이 미래다’라는 말은 너무 쉽다. 그 미래를 어떻게 만들지를 말하지 않으면 루저나 별난 취향의 게토에서 벗어나기 어려울지 모른다. 탈성장은 도덕률이 아니며 경제 이론인 것만도 아니다. 탈성장은 규범이기도 하고 방법이기도 하고 느낌이기도 할 것이다. 미래를 그리는 시나리오에는 이런 요소들이 다 있어야 한다. 기후위기 자본주의 전환 지속가능성 탈성장
재난자본주의는 ‘위험한 구원의 순간’을 기다린다 박숙현2022년 5월 26일조회 256 자연재난과 위기, 전쟁을 돈벌이 기회를 삼는 자본주의를 ‘재난자본주의’라 부른다. 『쇼크 독트린』(2008)을 쓴 나오미 클라인은 자유시장주의자가 보기에 ‘마음껏 그릴 수 있는 백지를 만들어 내는 위험한 구원의 순간은 홍수, 전쟁, 테러 공격이 일어날 때다’라고 주장하였다. 기후위기 불평등 자본주의 전환 코로나19
이제 노인들이 나선다 – 〈60+기후행동〉의 출범에 즈음하여 유정길2021년 11월 25일조회 473 지난 9월 23일에 60대 이상 노인들이 중심이 되는 ‘60+기후행동’의 기후행동 준비위원회가 출범했다. 그간 누려온 물질적 풍요가 청년들의 미래를 빼앗아온 결과라는 사실을 겸허하게 받아들이며, 더 나은 세상을 위해 노인들이 전환의 맨 앞에 나서야 한다는 다짐을 하고 있다. 후손들의 미래를 위해 더 많은 이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가 필요하다. 60+기후행동 그레이그린 기후변화 노인 전환
진정한 전환 – 『전환의시대, 마케팅을 혁신하다』를 읽고 달뜸2021년 11월 25일조회 310 마케팅은 계속해서 역할과 기능이 변화해 왔는데 포장과 제품보호, 광고와 제품 인지, 브랜딩과 판매 및 관계에서 현 세대인 4세대에선 친환경적인 지속가능성이 요구되고 있다. 즉 지나친 포장재나 비닐,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패키지는 선호되지 않으며 패키지 안에 스토리텔링을 담고 가치를 담아 고객 개개인의 자아를 실현시키는 역할까지 하게 되었다. 다람쥐회 대안경제 공부모임 마케팅 영등포산업선교회 전환
황금보다, 현금보다 더 귀중한 것, 지금 – 현존일념(現存一念)의 행복 유정길2021년 11월 2일조회 421 사람은 현재를 살면서도 과거를 돌아보고 미래를 상상한다. 과거와 미래의 의미는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현재는 누구에게나 공평하게 주어지는 시간이다. 그 존재를 인식하지 못한다면 과거가 되어버리는 ‘찰나’이기도 하다. 당신에게 ‘현재’는 어떤 의미인가? 불안 전환 카르페디엠 현재 현존일념
탈성장을 위해 협동조합은 무엇을 할까? 꼼지2021년 8월 10일조회 475 개발과 성장의 굴레에 갇힌 소비사회에서는 자원고갈과 환경파괴를 피할 수 없다. 자본의 성장신화를 벗어나야만 화려하지 않아도 만물이 어우러진 풍요로운 사회를 꿈꿀 수 있으니 지금, 여기를 고민하는 협동조합은 탈성장으로의 전환을 모색할 때이다. 노동 자본 전환 탈성장 협동
마음생태모임_『의자의 배신』(online) 생태적지혜2021년 7월 11일조회 304 바이바 크레건리드가 쓴 『의자의 배신』(아르테, 2020)에 관한 마음생태모임이 2021년 7월 5(월) 오전10시 온라인 ZOOM을 통해 진행되었다. 8월 17일(화)로 예정된 다음 모임에서는 힐러리 코텀 『래디컬 헬프』(2020, 착한책가게)를 읽고 이야기 나누는 시간을 가질 예정이다. ※참여 문의: 010.9칠44.칠칠56 노동 몸 전환 정동 훈육사회
마음생태모임_『의자의 배신』(online) 생태적지혜2021년 6월 10일조회 276 바이바 크레건리드가 쓴 『의자의 배신』(아르테, 2020)에 관한 마음생태모임이 2021년 5월 27(목) 오전10시 온라인 ZOOM을 통해 진행되었다. 7월 5(월)로 예정된 다음 모임에서도 『의자의 배신』 후반부를 이어서 읽고 이야기 나누는 시간을 가질 예정이다. ※참여 문의: 010.9칠44.칠칠56 노동 몸 문명 전환 정동
[불교기후행동] 기후위기시대, 예토(穢土)의 땅에서 정토(淨土)를 일군다 이해모2021년 5월 10일조회 574 코로나19는 성장주의에 중독된 채 살아가는 오늘날의 삶이 불교의 전도몽상임을 깨닫게 하는 역행보살이다. 부처님의 연기법을 통해 인간중심주의와 소비주의의 업식을 끊어내고 소박한 생태적 삶으로의 대전환을 일구어 내야 한다. 기후위기 생태적 삶 전환 종교 지속가능성
[지역의 발명] ③ 지역에 있어야 할 10가지 원칙 이무열2021년 1월 10일조회 1.3K 지역은 성장을 놓지 못한 채 끊임없이 규모를 키우고, 모든 것을 평균에 맞추어 수도권으로 빨아들이는 고장난 문명을 바꿀 수평적이고 개성적인 대안이다. 지역이 ‘여러 사람이 생활하면서 함께 살아가는 곳’이라는 사실에 공감한다면 지역을 정의하는 이 말 속에 중요한 단어와 어울리는 적정한 것들을 연상하면서 지역의 원칙을 발견해 나갈 수 있다. ‘여러 사람’, ‘생활’, ‘함께’, ‘살아가는’ 이 네 가지가 연상을 시작하는 중요한 단어가 된다. 공동체 로컬 순환 전환 관련글 [지역의 발명] ① 도대체 지역은 어디까지일까? [지역의 발명] ② 야마자키 료의 커뮤니티디자인 방법 [지역의 발명] ④ 질문으로 할 수 있는 것들 [지역의 발명] ⑤ 계획을 넘은 계획, 커뮤니티 픽션(Community Fiction) [지역의 발명] ⑥ 지역을 발견하는 관찰 [지역의 발명] ⑦ 커뮤니티 디자이너 야마자키 료 Studio L 대표 인터뷰 [지역의 발명] ⑧ 지역과 사회적 경제 [지역의 발명] ⑨ 비어있는 주민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