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상을 받은 기후경제학자, 윌리엄 노드하우스 전병옥2019년 11월 10일조회 6.2K 해마다 이맘 때 쯤이면, 스웨덴 왕립과학원에서 발표하는 노벨상에 세간의 관심이 모입니다. 문학, 화학, 물리학, 의학, 경제, 인권·평화 등 6개 분야에서 공로가 많은 개인이나 단체에게 수여하는 이 상은, 어느덧 학자 개인과 소속 연구기관, 그리고 국가 모두에게 커다란 학문적 지향점이 된 것 같습니다. 각 분야에 대한 시상자가 결정된 이후에는 그들의 연구 결과에 대한 과학적, 사회적, 그리고 미학적 의미에 대해 다양한 해석이 이루어집니다. 노벨상과 전혀 관계없는 사람들도 이런 해석을 보는 재미는 있을 것입니다. 그런데, 작년도 노벨 경제학상의 의미에 대해서는 유난히 조용히 지나간 것 같습니다. 대중들이 흥미 있어 할 만한 내용이 아니어서 그랬을까요? 2018년 노벨 경제학상을 받은 미국의 William Nordhaus의 연구 주제에 대해 알아보고 그 한계와 너머의 이야기를 나눠 보고자 합니다. 기후변화 기후정상회의 노벨경제학상 온실가스 지구온난화
기후변화에 대한 과학자들의 시나리오 전병옥2019년 8월 10일조회 9.9K 이상 기온 현상이 눈이 띄게 반복되면서 시민들의 기후 변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기후 변화는 지난 30년 이상 과학자들의 탐구 대상이었습니다. 사실 과학자들 사이에는 매우 심각한 내용의 보고서들이 발표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렇다면, 과학자들이 예측하는 우리의 미래는 어떤 모습일까요? 최근에 발표된 주요 자료를 기준으로 살펴보겠습니다. IPCC 기후변화 문명의 전환 지구온난화 호주보고서 관련글 [호주 국립기후복원센터 정책보고서] 실존적인 기후 관련 안보 위기 – 시나리오적 접근 全文 : 번역 실존적 위기에 대한 실존적 자각으로 – 「실존적인 기후 관련 안보 위기 – 시나리오적 접근」에 대한 시나리오적 화답
[기후변화 톺아보기] ⓶ 식량위기에 대처하는 오래된 해법 두더지2019년 7월 10일조회 4.9K 기후변화의 여러 가지 얼굴들 중에서 식량위기는 가장 두려운 것이 아닐 수 없다. 식량은 열 자체, 가뭄, 벌레 감소, 해수면 상승에다 기후변화에 따른 식물 자체의 변화까지 다면적으로 영향을 받게 된다. 이에 대해 볼테르는 아주 단순한 해법을 말한다. 역사적으로 많은 위기의 순간 사람들을 구해 왔던 것은 바로 ‘자기 자신들의 정원’이다. 공동체 기후변화 식량위기 지구온난화 텃밭 관련글 [기후변화 톺아보기] ⓵계속되는 폭염 속 새로운 문화 [기후변화 톺아보기] ⓷ 기후변화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
생태계의 신호와 커뮤니케이션 노마드2019년 6월 25일조회 2.4K 셀 수 없이 많은 기후변화의 신호들이 쌓여가고 있지만, 그 속에서 실제 일어나는 인식의 과정은 생각보다 훨씬 복잡하고 미묘하다. 기후 변화라는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서 고려해야 할 요소들이 너무나 많고, 또 그 시스템적인 성격으로 인해서 요소들 간의 관계가 너무 복잡하기 때문이다. 문제는 탈정상과학의 시대에 점점 그 영역이 늘어나는 과학적 불확실성을 얼마나 줄일 수 있느냐보다 그것을 어떻게 다룰 것이냐가 될 것이다. 기후변화 북극곰 지구온난화 커뮤니케이션 회의론
그럼 어떻게 많이 먹어요? 박종무2019년 5월 25일조회 2.3K 오늘날 우리의 삶은 과도한 육식과 과도한 에너지 소비 등 다양한 과소비로 지탱되고 있다. 이러한 과도한 소비는 지속가능할 수 없으며 기후변화 등 다양한 문제를 야기한다. 우리는 우리 스스로의 소비를 줄여나가야 한다. 과소비 기후변화 육식 탈소비주의 탈원전
[기후변화 톺아보기] ⓵계속되는 폭염 속 새로운 문화 두더지2019년 5월 25일조회 2.6K 기후변화의 이모저모를 살펴보는 [기후변화 톺아보기] 시리즈를 매달 1회씩 앞으로 약 10회에 걸쳐 진행할 예정이다. 그 첫 번째 순서는 ⓵계속되는 폭염 속 새로운 문화이다. 도래할 기후변화 상황이 사람들에게 던지는 핵심적인 공포는 의학적으로 견딜 수 없는 폭염 속에서 살아야 한다는 것이다. 대체 얼마나 더워지는 것일까? 더위를 막지 못하여 그 기후가 정말로 이 세계의 온도로 자리 잡는다면, 그때를 위하여 무엇을 준비해야 하고 어떤 모습으로 삶의 문화를 바꿔야 하는 것일까? 공동체 기후변화 문명의 전환 재생에너지 폭염 관련글 [기후변화 톺아보기] ⓶ 식량위기에 대처하는 오래된 해법 [기후변화 톺아보기] ⓷ 기후변화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
기후변화로부터 벗어나는 길, 어디로 갈 것인가? : 논픽션 문학 『나이트』 두더지2019년 4월 25일조회 2.4K 논픽션 문학 『나이트』에 등장하는 모이셰는 남들보다 먼저 나치의 유대인 학살을 인지한다. 하지만 그 누구도 모이셰의 목소리에 귀기울이지 않는다. 이 모습은, 기후변화가 한걸음 한걸음 파괴적인 모습으로 우리들에게 다가오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행동 실천을 시작하지 않는 오늘날 평균인들의 모습과 같지 않은가? 공동체 기후변화 문명의 전환 재난 지구온난화
미래적지혜모임 – 에릭 로스턴의 『탄소의 시대』 생태적지혜2019년 4월 19일조회 2.2K 단 150년 만에 지구는 이제까지 한 번도 겪지 않은 심각한 기후변화의 상황으로 치달아가고 있으며, 이는 대기 중 탄소물질의 증가와 탄소순환계의 이상과 관련되어 있다는 점은 분명하다. 생명위기 시대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바로 지금 행동해야 할 때라는 점에 대한 공감대 속에서 세미나가 이루어졌다. 기후변화 생명위기 시대 지속가능성 탄소순환 플라스틱
미래를 준비하는 법 : 영화 『칠드런 오브 맨(Children of Man, 2006)』 심순2019년 3월 23일조회 4.4K 2027년, 더 이상 아이를 낳을 수 없게 된 인류는 파국적 현실 속에서 살아가고 있다. 이 암울한 미래에 인류의 마지막 희망인 임산부 소녀 ‘키’가 나타나고 사회운동가였다가 평범한 삶을 살고 있는 주인공 테오가 우연찮게 그녀와 아이를 지켜내기 위한 모험을 떠나게 된다. 기후변화 난민 소수자되기 영화
기후변화와 이미 도래한 미래 故신승철2019년 3월 11일조회 2.6K 기후변화의 막대한 위기 앞에서 염려와 불안, 두려움에도 불구하고 꿋꿋이 발언하고 행동하고 있는 미래 세대들의 등장은 인류사회의 미래전망을 밝게 하고 있다. 미래가 무심결에 다가오는 것이 아니라, 항의하고 저항하고 행동하는 미래 세대의 모습에서 현현하고 있음을 느끼게 되는 대목이다. 기후변화는 주어진 미래가 아니라, 바꾸어야 할 미래임이 분명하다. 기후변화 미래세대 주체성 생산 지구온난화 관련글 희망을 찾지 않는 생태적 감수성 : TED강연 by 그레타 툰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