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 –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을 읽고

편리한 문명의 도구인 인터넷과 스마트폰의 편리함 이면에선 자신의 사고를 말살하는 야누스의 두 얼굴이 존재한다. 최근의 젊은이들은 책을 처음부터 끝까지 읽는 경우가 많지 않다. 검색을 통해 책의 내용을 스캔하면 짧은 시간에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제 우리의 뇌는 더 이상 생각을 위한 것이 아닌 검색 기능을 수행하는 장기가 되어 버렸다.

‘모범을 따라 배우기’를 지금, 여기라는 맥락에 놓기 : 기후 위기 속에서 『대학』

‘모범을 따라 배우기’는 낡은 공부 방법으로 평가되곤 하는데 그것을 뒷받침해주는 엄정한 논리도, 객관적 기준도 없어 보인다. 이 공부 방법은 값비싼 위험부담을 안고 있다. 모범이 되는 사람을 영웅으로 만들었다가, 그에게 영육 양면으로 종속되거나, 엄청난 환멸 속에 모범과 결별하고는, 영웅에게 불필요한 모욕을 가하게 되는 등의 이유에서다. 그런데 세상은 돌고 도는 것이어서, 이 방법이 세상의 변화의 어느 국면에서는 빛을 발할 수도 있으니, 한 번쯤은 일부러 살펴볼 가치가 있다고 하겠다.

차이와 함께 춤추는 존재론 – 도나 해러웨이의 『해러웨이 선언문』를 읽고

도나 해러웨이는 두 개의 선언문을 통해 차이를 기반으로 한 존재론을 제시한다. ‘사이보그’는 기계적인 동시에 유기적인 정체성을 제시하며 이를 사상적이고 정치적인 돌파구로 사용하기를 제안한다. 이러한 혼종적 존재들은 서로를 소중한 타자로 대하며 일종의 ‘반려종’ 관계를 이뤄야 한다.

생생(生生), 회복력 혹은 강요된 여성 젠더 ; 기후 위기 속에서 『주역 계사전』 다시보기

“걔가 애는 착해”라는 말이 있다. 나쁜 짓을 한 사람들 두고 누군가가 이런 평가를 했을 때, “아 그러면 그 사람은 좋은 사람이구나”라고 생각하면 곤란하다.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그런 평가는 그저 참고사항 정도로 들어야 한다. 옛글을 읽으면서도 “그게 원래는 아주 좋은 뜻이야”라고 말하는 것이, 별로 중요하지 않은 정도를 넘어서서, 옛글을 제대로 이해하는 것을 가로막는 걸림돌이 되기도 한다. 옛글 속의 글귀들은 금과옥조처럼 떠받들 때 빛나는 것이 아니라, 각자가 자기가 처한 현실 속에서 되씹어볼 수 있을 때 제대로 된 가치를 가지게 되는 것 같다.

민주주의 다시 생각해 보기- 『민주주의 공부』를 읽고

민주주의 위기는 민주주의가 태어날 때 같이 태어났다. 민주주의는 구성원의 자유와 평등이 지켜지는 한 다원성의 원칙을 결코 버릴 수 없다. 민주주의를 위협하는 하는 세력들 또한 민주주의의 다원성 아래 성장한다. 하지만 체제를 위협하지 않는 한 다원성의 원칙은 지켜져야 하며, 민주주의 체제 자체를 위협하지 못하도록 지속적 보완이 필요하다.

소비와 욕망에 대한 각성, 『자발적 가난』을 읽고

심리학자에 따르면 “우리는 주위를 둘러싼 사고와 표현, 의식, 제품을 통해 자아상을 형성한다“고 한다. 따라서 우리가 무엇을 소비하고 무엇을 욕망하는가는 개개인 및 사회적 자아를 형성하는 데 매우 중요한 요소이기에 ‘각성’을 필요로 한다. 이 책은 우리를 각성의 길로 인도해줄 것이다.

기생충에게 업혀 살다 – 『기생충, 우리들의 오래된 동반자』를 읽고

기생충은 지구에서 가장 흔한 생물 종이다. 기생의 정의를 넓게 보면, 인간 또한 다른 생물에게 의존하는 기생 생물이라고 할 수 있다. 기생충이 생태계에서 차지하는 지위와 역할을 고려하여, 인간이 기생충과 맺는 관계를 ‘신인간중심주의’를 활용하여 재고해본다.

이제 누구 혹은 무엇과 어떻게 친할 것인가? -기후 위기 속에서 『맹자』 「진심」편 上 다시 읽기

고전에 인류의 지혜가 담겨있다고 말하는 사람들이 있다. 그런데 고전들은 대부분 기후 위기가 발생하기 이전 저술이다. 따라서 고전에서 기후 위기에 대처하는 지혜를 바로 찾아낸다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일 것이다. 기후 위기 속에서 고전을 읽는다는 것은 어떤 의미이며 어떤 읽기 방법을 요구하는 것일까 생각해 보자.

쾌락, 고통, 자각, 살 – 『육화, 살의 철학』 「서론 : 육화에 대한 질문」을 읽고

근대적 객관성의 추구 과정에서 사람들은 자신을 둘러싼 것들을 느끼는 동시에 자신을 스스로 겪는 살로 자신이 이루어져 있음을 충분히 느끼지 못하게 된 듯 싶다. 살은 쾌락과 고통으로 구성되어 있기에 분리될 수도 분할될 수도 없는 것임도 근대의 일상에서는 인식되지 않았던 듯싶다, 미셸 앙리의 저서 『육화, 살의 철학』은 우선 이 점을 상기시킨다.

맨위로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