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안마을 방문기] ② 야마기시즘 실현지, 산안마을의 삶 들여다보기

경기도 화성에는 야마기시 미요조(山岸巳代藏)가 제창한 야마기시즘을 실현하며 살아가는 산안마을이 있다. 산안마을에 방문하여 야마기시즘의 삶이 어떠한지 인터뷰하였다.

정의로운 전환의 유용성과 딜레마

정의로운 전환은 기후위기 대응에서 노동자와 지역사회의 피해를 최소화하는 유용한 개념으로 논의되고 있다. 하지만 이에 대한 해석은 다양하며 체제 전환과의 관계 속에서 여러 논의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정의로운 전환의 유용성과 함께 딜레마의 이유를 밝히고, 개념의 한계를 넘어 더 생산적인 이야기를 열어젖혀야 한다.

조금 어려워도 알아두면 좋은 과학상식- 복사강제력

기후변화와 관련된 여러 콘텐츠를 접하다보면, 몇 가지 과학적 개념들을 만나게 됩니다. 예를 들면, 온실효과, 탄소순환, 지구온난화 등인데요. 과학의 주제이긴 하지만, 약간의 설명이 추가되면 시민들도 어렵지 않게 이해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이런 현상의 공통 배경이 되는 하나의 개념을 이해하면 기후변화라는 현상이 조금 더 선명해지는데요. 약간은 까다롭지만, 알아두면 도움이 되는 개념인 ‘복사강제력’에 대한 이해를 도와드리려 합니다.

[지역의 발명] ⑦ 커뮤니티 디자이너 야마자키 료 Studio L 대표 인터뷰

이 글은 야마자키 료 Studio L 대표와 e메일을 통해 서면 인터뷰한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 야마자키 료는 지역의 과제를 지역 주민들이 스스로 해결할 수 있게 돕는 일본의 유명 커뮤니티 디자이너이다. 커뮤니티 디자인은 ‘우리 사회가 직면한 과제를 해결하는 도구’로서, 최근 마을만들기와 공동체가 사회적 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우리 사회에서도 주목받고 있다.

[저성장시대 협동운동의 전략지도] ⑦ 협동운동, 남은 이야기들

기후위기의 상황 속에서 협동조합은 기존에 당연시 되어왔던 삶의 방식 전반에 대해서 물음표를 던지고 협동조합이 갖고 있는 의미를 공공연하게 외쳐야 한다. 과거의 비즈니스가 부차적인 사업이 되고 비물질재라고 할 수 있는 지혜와 지식, 정보가 교류되는 장 커뮤니티의 공간이 되어야 한다. 커뮤니티의 밀도가 높아질 때에야 ‘개인의 빈곤’을 ‘더불어 가난’으로 대체할 수 있다. 그 안에서 우리의 정동과 욕망, 사랑의 흐름이 향하는 바에 몸을 싣고 거대한 전환사회를 향한 한 걸음을 내디뎌야 할 것이다.

[지역의 발명] ⑥ 지역을 발견하는 관찰

최근 지역조사나 마케팅조사에서 관찰조사가 중요하게 사용되고 있다. 지역 주민들의 보편적 욕구를 알아보는 설문조사나 인터뷰와 달리 관찰조사는 지역의 특이성을 발견할 수 있는 조사방법이라 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관찰조사 방법과 사례를 간단하게 소개한다.

[만화리통신] ⑥ 삶이 예술이 되는 마을

정월대보름날 비조마을에서는 동제를 지냅니다.

[저성장시대 협동운동의 전략지도] ⑥ 문명의 전환과 전환사회의 전망 수립

기후위기 상황에 대응하는 전환사회의 설립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그 일을 해낼 사람과 그 일에 나설 사람을 만들어내는 것이 중요하다. 관계망에서 사람들은 너도 아니고 나도 아니지만, 너와 나 둘 다 될 수 있는 간주관성, 사이주체성, 서로주체성의 영역을 발견하게 된다. 그러한 관계망에서의 주체성 생산은 결국 하나의 특이점이 되어 새로운 전환사회의 형태와 생활양식 등을 구성해낼 것이다.

[산안마을 방문기] ① 산안마을 닭들을 어떻게 할 것인가?

조류인플루엔자가 반복적으로 발생하면서 많은 가금류가 살처분되고 있다. 2020년 12월 화성시에도 조류인플루엔자가 발생하여 많은 농장의 가금류가 살처분 되었지만, 화성의 산안마을은 살처분을 거부하고 있다. 산안마을을 방문하여 어떤 이유를 살처분을 반대하고 있는지 또 지금 상황은 어떤지 인터뷰하였다.

맨위로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