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에서 예술하기] ① 공통하기와 예술하기 권범철2023년 11월 11일조회 1.3K ‘예술하기’는 대상화된 예술이 아닌 과정으로서의 예술을 드러낸다. 자본주의 아래에서 예술을 ‘한다’는 것은 어떻게든 ‘정상적인’ 삶에 균열을 내는 것, 새로운 삶 형태를 만들어가는 것일 수밖에 없다. 이러한 의미에서 예술하기는 공통하기와 다르지 않다. 그것은 다른 삶에 대한 요구며 실천이다. 공통장 노동 예술 욕망 커먼즈
[지금 여기 가까이] ⑫ 작은 행복은 어디에 있을까? 故신승철2023년 8월 18일조회 1.2K [지금 여기 가까이] 시리즈는 단행본 『저성장 시대의 행복사회』(삼인, 2017)의 내용을 나누어 연재하고 있다. ‘저성장을 넘어 탈성장을 바라보는 시대에, 가난하고 평범한 사람들은 어떻게 행복해질 수 있을까’라는 질문에 대한 답을 ‘지금, 여기, 가까이’에서 찾고자 하는 이야기다. 구성주의 배치 욕망 차이 행복 관련글 [지금 여기 가까이] ⑨ 소비를 줄이면 욕망도 줄어들까? [지금 여기 가까이] ⑩ 성공주의밖에는 선택의 여지가 없을까? [지금 여기 가까이] ⑪ 무한 속도를 즐기면 어떤 일이 생길까?
정동하는 밥상 – 밥 한 끼에 담긴 지리학 이무열2023년 8월 11일조회 1.3K 지역에서 소박하고 풍성한 식사 한 끼를 챙기는 일이 결국 평화의 세상으로 가는 길이다. 욕망 음식 자본주의 정동 지역
[지금 여기 가까이] ⑨ 소비를 줄이면 욕망도 줄어들까? 故신승철2023년 6월 18일조회 1.3K [지금 여기 가까이] 시리즈는 단행본 『저성장 시대의 행복사회』(삼인, 2017)의 내용을 나누어 연재하고 있다. ‘저성장을 넘어 탈성장을 바라보는 시대에, 가난하고 평범한 사람들은 어떻게 행복해질 수 있을까’라는 질문에 대한 답을 ‘지금, 여기, 가까이’에서 찾고자 하는 이야기다. 도주선 분자 정동 소비 욕망 관련글 [지금 여기 가까이] ⑧ 빈곤은 찬양될 수 있을까? [지금 여기 가까이] ⑦ 공동체가 언제나 거기 있을 거라는 착각 [지금 여기 가까이] ⑥ 왜 지금-여기-가까이에 주목해야 하는가?
[지금 여기 가까이] ⑧ 빈곤은 찬양될 수 있을까? 故신승철2023년 6월 3일조회 814 [지금 여기 가까이] 시리즈는 단행본 『저성장 시대의 행복사회』(삼인, 2017)의 내용을 나누어 연재하고 있다. ‘저성장을 넘어 탈성장을 바라보는 시대에, 가난하고 평범한 사람들은 어떻게 행복해질 수 있을까’라는 질문에 대한 답을 ‘지금, 여기, 가까이’에서 찾고자 하는 이야기다. 가난 기본소득 욕망 펠릭스 가타리 횡단성계수 관련글 [지금 여기 가까이] ⑦ 공동체가 언제나 거기 있을 거라는 착각 [지금 여기 가까이] ⑥ 왜 지금-여기-가까이에 주목해야 하는가? [지금 여기 가까이] ⑤ 왜 우리 자신을 만드는 것이 정동인가?
[지금 여기 가까이] ⑥ 왜 지금-여기-가까이에 주목해야 하는가? 故신승철2023년 5월 3일조회 663 친구들과 놀이하던 골목, 이웃들과 정을 나누던 골목은 목적지를 향해 달려가는 자동차와 오토바이에게 자리를 내어 주었다. 현재의 축제는 미래를 위한 준비로 대체되고 말았다. 바로 옆에 있는 사람과의 대화가 사라지고 대출상환과 연금계산의 소리가 가득하다. 기존 삶에 의문을 품고 바로 옆사람과 함께 새로운 이야기를 만들자는 한 부부의 이야기를 통해 사랑, 여백, 공동체, 축제에 대해 생각해 보자. 가족 공동체 욕망 자동차 축제 관련글 [지금 여기 가까이] ③ 선물과 상품은 어떻게 다를까? [지금 여기 가까이] ④ 우리가 먹은 밥은 다 어디로 갈까? [지금 여기 가까이] ⑤ 왜 우리 자신을 만드는 것이 정동인가?
나의 욕망을 알아채고 배치하기 : 펠릭스-가타리의 배움을 따라 투모로우2022년 11월 18일조회 1.8K 들뢰즈와 가타리의 개념 중 욕망과 탈주의 경험을 주제로 글을 쓰지만 어렵다. 어렵긴 하지만 또 재미있다. 쉽게 쓴 철학서도 좋지만 어려운 철학서를 읽고 철학자가 말하는 개념을 쫓아가는 것도 나름 재미있고 신선하다. 모두 다 이해하지 못하더라도 어떤 지점에 공감할 수 있다면 바로 그곳에서 배움이 일어난다. 생태철학 욕망 탈주 펠릭스-가타리 학교
행복론의 계보학 – 「행복을 철학하다」를 읽고 이환성2022년 9월 26일조회 1.9K 이 책에서는 고대의 소크라테스로부터 근대의 스피노자까지의 철학자들의 행복론을 언급하면서도 그리스의 스토아철학과 인도에서 탄생한 불교의 행복론을 적극적으로 추천한다. 저자는 행복을 찾는 방법을 제시하지 않는다. 다만 인류가 과거에서부터 지금까지 행복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였는가를 여러 철학자를 통해 소개하면서 그 속에서 자신만의 답을 찾기를 바랄 뿐이다. 관계 생활 욕망 철학 행복
도시에서 생태적으로 살아가는 법, 패터슨 씨처럼. 벌똥2022년 5월 11일조회 846 코로나 이후 새로운 삶의 방식을 모색해야 한다. 일상을 리듬감 있게 변주하며 살아가는 영화 속 인물, 패터슨씨를 통해 도시에서 생태적으로 살아갈 수 있는 시적인 감각을 배워 볼 수 있지 않을까? 기후위기 비행탐닉 욕망 장기하 패터슨
화산 폭발을 기원하는 어린이의 성장 영화 – 영화 《진짜로 일어날지도 몰라 기적》 관람 후기 장세현2021년 11월 2일조회 2.8K 영화 《진짜로 일어날지도 몰라 기적》의 이야기를 소개하고 자아와 ‘세계’의 관계, 그리고 성장(기적)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고찰해봅니다. 기적 성장 영화 욕망 진짜로 일어날지도 몰라 기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