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의 발명] ③ 지역에 있어야 할 10가지 원칙 이무열2021년 1월 10일조회 2.7K 지역은 성장을 놓지 못한 채 끊임없이 규모를 키우고, 모든 것을 평균에 맞추어 수도권으로 빨아들이는 고장난 문명을 바꿀 수평적이고 개성적인 대안이다. 지역이 ‘여러 사람이 생활하면서 함께 살아가는 곳’이라는 사실에 공감한다면 지역을 정의하는 이 말 속에 중요한 단어와 어울리는 적정한 것들을 연상하면서 지역의 원칙을 발견해 나갈 수 있다. ‘여러 사람’, ‘생활’, ‘함께’, ‘살아가는’ 이 네 가지가 연상을 시작하는 중요한 단어가 된다. 공동체 로컬 순환 전환 관련글 [지역의 발명] ① 도대체 지역은 어디까지일까? [지역의 발명] ② 야마자키 료의 커뮤니티디자인 방법 [지역의 발명] ④ 질문으로 할 수 있는 것들 [지역의 발명] ⑤ 계획을 넘은 계획, 커뮤니티 픽션(Community Fiction) [지역의 발명] ⑥ 지역을 발견하는 관찰 [지역의 발명] ⑦ 커뮤니티 디자이너 야마자키 료 Studio L 대표 인터뷰 [지역의 발명] ⑧ 지역과 사회적 경제 [지역의 발명] ⑨ 비어있는 주민학교
[리토르넬로 시리즈] ⑧ 근대음악의 재료, 힘 그리고 단순함에 대하여 신동석2021년 1월 10일조회 1.9K 근대의 시간을 들뢰즈와 가타리는 코스모스적인 것의 시대라고 명명합니다. 리토르넬로의 내부배치물은 더 이상 카오스에 맞서지도, 대지와 민중의 힘들 속으로 들어가지도 않고, 코스모스의 힘들을 향해 열립니다. 근대의 시대는 재료–힘들의 직접적 관계로 나타나기 때문입니다. 코스모스의 힘들을 붙잡아야 한다는 말입니다. 강도 리토르넬로 불협화음 코스모스 탈영토화 관련글 [리토르넬로 시리즈] ①탈주선을 찾아서 [리토르넬로 시리즈] ② 환경과 리듬 [리토르넬로 시리즈] ③ 모티프와 대위법의 영토화 [리토르넬로 시리즈] ④ 영토화와 엇갈림의 시작 [리토르넬로 시리즈] ⑤자기 집에서 떠남을 준비함 [리토르넬로 시리즈] ⑥ 고르고 다진다는 것은 무언가를 기다린다는 것 [리토르넬로 시리즈] ⑦ 고전주의, 낭만주의 [리토르넬로 시리즈] ⑨ 무엇이 리토르넬로에 맞는 음악일까?
게임이론을 통해서 본 기후변화에서의 국제 정치와 국제 기후 협약 영수(榮秀)2021년 1월 10일조회 6.8K 경제학적 관점에서 기후변화 문제를 한마디로 정의하자면, “공유지의 비극(Tragedy of Commons)”을 발생시키는 “죄수의 딜레마(Prisoner’s Dilemma)” 문제의 일환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한 게임이론(Game Theory)에서의 최적화된 해답으로서는 “맞대응(Tit for Tat)” 전략이 있으며, 이를 상황에 알맞게 국제 정치와 국제 협약에 적용을 시킨다면 상당히 괄목할 만한 기후변화 관련 정치적, 정책적 방법론들을 구상할 수 있을 것이라 저는 기대하고 있습니다. UNFCCC 게임이론 국제정치 국제협약 기후변화
[그린그레이의 환경힙합] 내복 그린그레이2021년 1월 10일조회 1.2K 《내복》은 추운 겨울에 내복을 입어서 건강을 챙기고 난방비를 아끼자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 1절에서는 내복을 의인화하여 어릴 때는 자주 입었던 내복의 입장에서 쓸쓸하지만 재미있게 가사를 썼고, 2절에서는 유행과 멋만 신경 쓰는 요즘 젊은이들의 입장에서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도록 메시지를 담았다. 그린그레이 환경래퍼 환경랩 환경음악 환경힙합
[저성장시대 협동운동의 전략지도] ③ 정동, 돌봄, 욕망의 미시정치 故신승철2021년 1월 2일조회 2.0K 저성장 시대는 자연과 생명의 외부성이 한계에 봉착하여 수축되는 국면이다. 활력을 잃고 에너지 자체 고갈은 필연적인 상황. 협동조합이 이 한계 상황 하에서 주목해야할 근본적 해법인 무엇일까? 그것은 욕망의 혁명이자 영구혁명이다. 해방의 목표는 정동의 해방이며 협동조합을 통한 실존의 재건이다. 조직 내 직분의 관계만 남은 오늘날의 인간관계는 저성장 시대에 지속될 수 없다. 협동조합은 마을 공동체마다 반드시 있었던 입담꾼들의 이야기판을 조합운영의 중심에 놓아야 한다. 이 이야기는 미시적이고 내밀한 살아있는 사람들의 이야기여야 하며, 이 이야기가 물품의 이미지가 되어야 한다. 그래서 소비로 수렴되지 않는 정동의 해방이 저성장 시대의 새로운 시스템을 만들어 나가도록 해야 하지 않을까? 가타리 미시정치 저성장 정동 협동조합 관련글 [저성장시대 협동운동의 전략지도] 서문: 구성적 실천, 새로운 지평에 선 협동조합의 과제 [저성장시대 협동운동의 전략지도] ① 거대한 패러다임의 전환 [저성장시대 협동운동의 전략지도] ② 외부소멸테제와 특이점 설립 [저성장시대 협동운동의 전략지도] ④ 저성장시대, 커뮤니티도 너무 크다! [저성장시대 협동운동의 전략지도] ⑤ 제한, 유한성, 한계를 응시하며 [저성장시대 협동운동의 전략지도] ⑥ 문명의 전환과 전환사회의 전망 수립 [저성장시대 협동운동의 전략지도] ⑦ 협동운동, 남은 이야기들
(올바른) 인공지능 시대를 맞이하기 위하여 이상2020년 12월 25일조회 1.9K 매일같이 사용하고 있는 온라인 기술들이 우리 생활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몇 가지 사례를 들어 설명하였습니다. 부정적인 측면에서 우리가 고찰해야 할 부분들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도구 소셜 사이드이펙트 소셜미디어 알고리즘 인공지능
위기의 시대 생협이 가야할 길 꼼지2020년 12월 25일조회 1.6K 코로나19와 기후위기는 자본주의에 제동을 걸며 우리에게 다른 삶의 방식을 요구하고 있다. 이 위기의 시대에 생협은 대안이 될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새로운 것을 모색하기보다 현재의 과제를 살펴보고 생협의 처음 정신으로 돌아갈 필요가 있다. 대안 생협 지속가능 코로나19 한살림
[만화리통신] ④ 옛날 이름, 옛날 이야기 김진희2020년 12월 25일조회 3.4K 비조마을 지명과 마을어른께 들은 도깨비 이야기입니다. 마을 만화공감 만화리 비조마을 생태 관련글 [만화리통신] ① 만화리 통신이 시작되는 곳, 비조마을회관 가는 길 [만화리통신] ② 만 가지 이야기가 어우러지는 마을 – 할머니들의 이야기 [만화리통신] ③ 과거와 현재가 만나는 곳 – 비조마을회관 [만화리통신] ⑤ 마을에서 노는 아이들 [만화리통신] ⑥ 삶이 예술이 되는 마을 [만화리통신] ⑦ 마을은 봄!
[지역의 발명] ② 야마자키 료의 커뮤니티디자인 방법 이무열2020년 12월 25일조회 5.6K 3세대 커뮤니티 디자인의 특징은 하고싶은 일을 통한 ‘사람과 사람의 연결’이다. 특히 복지와 디자인의 결합을 통해 지역을 풍요롭게 할 수 있다. 커뮤니티 디자이너 야마자키 료에게서 커뮤니티 디자인의 과정에 대해 알아본다. 디자인 워크샵 주민 지역 커뮤니티 관련글 [지역의 발명] ① 도대체 지역은 어디까지일까? [지역의 발명] ③ 지역에 있어야 할 10가지 원칙 [지역의 발명] ④ 질문으로 할 수 있는 것들 [지역의 발명] ⑤ 계획을 넘은 계획, 커뮤니티 픽션(Community Fiction) [지역의 발명] ⑥ 지역을 발견하는 관찰 [지역의 발명] ⑦ 커뮤니티 디자이너 야마자키 료 Studio L 대표 인터뷰 [지역의 발명] ⑧ 지역과 사회적 경제 [지역의 발명] ⑨ 비어있는 주민학교
영화 시나리오 《빨간섬》 티저 영상 최정은2020년 12월 25일조회 1.9K 2039년 한국 전역을 휩쓴 새로운 전염병. 백신 원료로 개발중인 식물모종을 훔쳐 세상을 구하려는 유전학자 귀옥. 부패한 세력으로부터 모종과 감염된 사람들을 지켜내고 진정한 가족을 만들려는 그녀의 염원을 위해, 그녀 반드시 싸워 이겨내야 한다. 기후위기 빨간섬 시나리오 영화 전염병